본문 바로가기
시사사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와 국내 정치공방

by Dr. AI 2023. 5. 28.
반응형

더불어민주당은 28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현장 점검을 마치고 돌아온 정부 시찰단을 겨냥하여 '깜깜이 시찰'이라고 비판하며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박성준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시찰단은 깜깜이로 시찰을 진행하고, 일본이 보여주는 것만 보고 돌아왔다"며 "국민이 시찰단이 내놓을 결론을 믿을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국민의힘이 야당 주장을 '괴담 선동'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서도 "국민 불안을 누가 키우고 있나. 일본 정부와 짝짜꿍이 돼 모든 것을 일본의 뜻대로 맞춰주는 윤석열 정부가 키우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습니다.

김한규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이틀 전 시찰단이 귀국했지만, 아직도 활동 결과는 감감무소식"이라며 "언제 발표하겠다는 건지 기약도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안 의원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여당 의원들부터 국민 앞에서 시음 행사를 해라. 대통령부터 먹어보라. 그러면 저도 마시겠다"고 말했습니다.

정 의원은 이날 SNS에 "대통령실부터 '후쿠시마표 오염 생수'를 주문해 마시라. 이럴 때야말로 '영업사원 1호'가 나설 때"라고 적었습니다.

민주당은 한국인 관광객 3,200여 명이 '슈퍼 태풍' 마와르로 태평양의 섬 괌에 고립된 데 대해서도 "정부는 왜 손을 놓고 있느냐"고 비판했습니다.

박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느냐. 천재지변이니 그저 시간이 해결해주길 바라고만 있느냐"며 "국민 안전에 무관심하고 무책임한 정부"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도 트위터에 "정부 당국은 지체 없는 긴급구호 대책을 마련해 구호 및 피해복구에 나서주기를 바란다"며 "민주당도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웨이드 앨리슨 영국 옥스퍼드 교수의 주장이 과학적인 판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웨이드 앨리슨 교수는 2009년 발표한 저서 "공포가 과학을 집어삼켰다"를 통해 방사선과 원자력 위험성이 과장되었다는 주장을 꾸준히 펴왔습니다. 그는 방사선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가 실제 위험보다 더 큰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편, 후쿠시마 앞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된 오염수가 논란의 중심에 있습니다. 일부 정부 당국자는 "지금 후쿠시마 앞에 있는 1ℓ의 물을 마실 수 있다"고 언급하며 안전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웨이드 앨리슨 교수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 과학적인 판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웨이드 앨리슨 교수는 "삼중수소를 제외한 다른 방사선원이 제대로 걸러지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라며, "원칙적으로는 직접 측정해 허용 한계를 넘는 물질이 들어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또한 일본 전문가들의 의견을 신뢰해야 하고, 정보를 얻기 위해 질문을 통해 알아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과학적인 판단의 필요성은 정치적인 공방에서 강조되어야 합니다. 불필요한 정부 규제를 없앤다면 원자력 발전에 소모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원자력 폐기물이 신중하게 처분되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웨이드 앨리슨 교수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중들에게 잘못된 이미지가 형성되어 문제가 양산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는 국내외에서 큰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국민 모두에게 과학적인 판단과 투명한 정보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웨이드 앨리슨 교수의 주장은 정확한 판단과 조치를 위한 필요한 지침으로 받아들여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과 현실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